모바일 회원증
모바일 회원증
가족 회원증
소장자료검색
리전 글리클럽 : 양선희 장편소설
책소개
일제강점기에 울려 퍼진 '다시 만난 세계' 한민족의 창가 본능…K-POP은 어쩌다 나온 게 아니다 일제강점기, 식민지와 가부장제의 이중 굴레 속, 이화여전 합창단, 기생 노래로 전락한 ‘민요’를 합창하다. “노래는 어떤 언어보다도 깊은 말, 민요 합창으로 깊이 잠든 조선의 혼을 깨우리라.” 3.1 만세 운동 그 후 10년, 살아남은 자들의 노래 그녀들의 저항-연대-성장 이야기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픽션 “여학생이 무대에서 민요 합창을 하는 것은 도덕적으로도 부합하지 않으며, 사회적 통념에 위반되는 행위이다.” “민요란 원시성과 순종성을 그 밑바닥에 둔 몰가치적 문화유산이며, 조선의 정신에 백해무익한 것…” 1928년 이화여전 글리클럽(합창단)이 경성공회당에서 ‘방아타령’ 합창을 공연해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화여전생이 기생이냐?’는 비난과 비아냥 속에서도 리전 글리클럽은, 이후로도 꾸준히 민요 합창 공연을 하고, 1930년대 초반엔 대대적인 전국 순회공연에 나선다. 글리클럽을 이끌었던 이화여전 음악과 메리 영, 안기영 교수는 [조선민요합창곡집]을 발간하고, 앨범을 제작하는 등 민요 합창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를 보인다. 일제강점기, 일제와 일부 조선의 지식인들이 우리 민요를 ‘기생의 노래’로 폄훼하며 조선 문화를 저질 문화로 전락시키는 조선 문화 말살에 골몰했던 시대에 맞선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사실과 상상력을 교차하며 재구성한 소설이다.
소장정보
소장처 [강일]종합 5F
청구기호 813.7-ㅇ285ㄹ
연령별 대출선호도 정보
이 책의 주요키워드
아직 등록된 관심 키워드가 없습니다.
이 책과 같이 빌린 도서 정보
이 도서와 함께 대출된 자료가 아직 없습니다.
※ 도서관 정보나루(http://www.data4library.kr)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작성된 정보입니다.
책이음 상호대차 신청
책이음 상호대차 신청정보
| 신청도서 |
|
|---|---|
| 보내는도서관 | |
| 받을 도서관 |
|
| 부록신청 |
|
신청 시 유의사항
무인예약대출 신청
무인예약대출 신청정보
| 신청도서 |
|
|---|---|
| 제공도서관 | 강동구립해공 도서관 |
| 수령처 선택 |
현재 예약가능인원 : 명 |
신청 시 유의사항
예약 신청이 불가능한 경우